앞서 강좌에서 Tensorflow의 환경 구축을 완료해보았습니다. 1.기본 소스코드 분석>>> import tensorflow as tf >>> hello = tf.constant('Hello, TensorFlow!') >>> sess = tf.Session() 2018-03-11 00:55:58.218567: I tensorflow/core/platform/cpu_feature_guard.cc:140] Your CPU supports instructions that this TensorFlow binary was not compiled to use: AVX2 FMA>>> print(sess.run(hello)) Hello, TensorFlow! 이 코드는 앞선 강좌에서 환경구축을 완료한후 기본 소스코드..
인터넷 동작 과정computer1(요청) Internet computer2(응답)1. computer1 클라이언트2. computer2 서버(http://a.com, 52.192.173.51) http://a.com(브라우저요청) -> 서버(http://a.com)서버 종류 Database 서버채팅 서버게임 서버웹 서버=> 브라우저 요청에 따라 서버는 누가 응답을 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포트http://a.com:80(80 생략가능) -> 80번 포트를 요청하면 80번 문에 있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port 80을 Listen 하게 한다. a.com을 컴퓨터 한테 요청한다는 말이다. https://opentutorial.org:80(s가 생략시) 이런 형태로 쓰인다.
넷스케이프 (브라우저의 한 종류)1. 웹2. 인터넷 역사(History)2004년 gmail -> html.css.javascriptG map API2008년V8엔진 -> JS 개발 2009년node.js 생겨남node.js(Run time) -> 웹브라우저 뿐만아니라 서버 개발도 가능해졌다 자바 스크립트는 Web browser 와 Server 개발이 가능하다. Node.js 는 V8 엔진을 사용하므로 -> 성능이 갑이다. Node.js 설치(Install)1. node.js 설치 -> 64 비트2. cmd -> $node --version
내장 모듈 이란?자주 사용하는 기본기능을 노드에 포함 시켜 제공하는것인데,노드를 설치하고 나면 그 안에 제공되는 다양한 모듈을 사용 할 수 있다.내장모듈에 대한 정보(http://nodejs.org/api) 내장모듈보다 외장모듈이 더 편리한 경우도 있다.OS 모듈메소드 이름 설명 hostname() 운영체제의 호스트 이름을 알려준다. totalmem() 시스템의 전체 메모리 용량을 알려준다. freemem()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알려준다 cpus() cpu 정보를 알려준다. networkInterfa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담은 배열 객체를 반환한다. 예시) var os = require('os');console.log('시스템의 hostname: %s',os.hostname..
파일의 분리메인 파일의 코드중에서 독립적인 기능은 별도 파일로 분리 가능, 메인 파일에서 전체적인 순서나 흐름만 제어 한다. 이렇게 분리된 파일을 노드에서는 모듈 이라고 부른다.export 전역객체각각의 기능을 분리 시킬 떄는 단순히 별도의 파일에 코드를 나누어 놓는게 끝나는것이 아니다. 모듈 파일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만들어 준다.노드는 CommonJs의 표준 스펙에 따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사용하는것이 exportNode.js에서 모듈 사용하는 대표적인방식Main.js VS module1.js 1. Main.Jsvar module1 = require('module1');module1.함수 이름(); 2. module1.jsexports.함수이름 = 함수 정의; => ..
process 객체란?프로그램을 실행 했을떄 만들어지는 프로세스 정보를 다루는 객체process 객체의 주요 속성과 메소드속성/메서드 이름 설명 argv 프로세스를 실행 할때 전달되는 파라미터(매개변수)정보 env 환경 변수 정보 exit 프로세스를 끝내는 메소드 예)console.log('argv 속성의 파라미터 수 :' + process.argv.length);console.dir(process.argv);argv의 결과: 2가 나오게 되는데 node.exe 파일의 이름이 첫번 째 파라미터가 되고,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패스가 두번째 파라미터가 된다.나머지 세번째 파라미터의 값을 어떻게 확인 할까?if(process.argv.length >2){ console.log('세번 째 파라미터의 값 %s ',..
console 객체란?전역 객체라고 부르며, 필요할때 코드의 어느 부분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전역 객체는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 할 수 있다. 함수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그 함수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대표적인 전역 객체 console 콘솔 창에 결과를 보여주는 객체 process 프로세스의 실행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객체 exports 모듈을 다루는 객체 cosole 객체에 정의된 log() 메소드를 호출하면서 문자열을 파라미터(매개변수)로 전달 하면 그대로 출력포멧 형식 사용한다. 예) console.log("숫자 보여주기 : %d",10);null 과 undefined 차이점undefined는 단순히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null은 의도적으로 값을 비웠다 라고 생각하면 된다.JSON 포멧 이란?자바..
브라켓 설치하기 (http://brackets.io)크롬 브라우저 설치하기(https://www.google.co.kr/chrome/browser/desktop)브라켓 플러그인 설치 하기(pretty 입력후 설치 코드이쁘게 해준다)NodeJs Integration 플러그인 - Ctrl + shift + N 을 누르면 현재 파일을 바로 실행 할수 있음. 테마 변경 하기 1. 보기 -> 테마 (bracket Dark)2. 글자크기 15~18정도가 적당한것 같아요 기본 사용법1. 프로젝트 만들고 브라켓에서 파일 만들기(html,js,ejs,css 등등)2. 기본적인 코드를 친후 Ctrl + s 로 저장 한다.
Node.js란?노드제이에스(node.js)는 노드(node)라는 원래의 이름뒤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제이에스(js)를 붙인형태 왜 Node.js를 만들었을까?파일업로드 할때, 업로드 완료되기전까지 아무것도 할수 없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서버 개발 도구를 만들기 시작함.-> 파일 업로드 기능을 담당하는 핸들러를 하나 만들어 둔다.Node 특징1. 하나의 요청 처리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비동기(입출력,Non-Blocking IO)방식을 적용 그러면 반대로 동기 입출력 방식은 무엇일까?- 파일 기능(읽기요청) -> 파일 준비 -> 파일 처리 -> 데이터 처리(완료 되었을 경우 완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반복) -> 다른 작..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드엔진
- TensorFlow
- 감자개발자
- C langauge
- C언어
- Spring
- BFS
- 백준알고리즘
- node
- 감자코딩
- 백준
- 리버싱
- 알고리즘
- Android
- 스프링
- node.js
- Algorigm
- 학교
- 복습
- 프로그래밍
- Controller
- db
- 머신러닝
- MVC
- 안드로이드
- 개발하는 관광이
- 초보자를 위한 C언어 300제
- 텐서플로우
- programming
- 노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