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9 / 21 Day 운영체제
주소 바인딩
정의 : 논리적 주소라고 하며 실행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주소로 사상되는것
특징
1. 컴파일 시간 바인딩(기계어로바꿀때)
- 실행시 위치가바뀌면 다시컴파일해야
2. 적재 시간 바인딩(실행시)
- 적재될 위치를 컴파일러가 알지 못하면 컴파일러는 일단 이진 코드를 재배치 가능 코드
3. 실행 시간 바인딩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에 기억장치에 의 한 세그먼트에서 다른 세그먼트로 옮겨질 경우에 주소 바인딩은 실행시간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실행시간 바인딩이라 한다.
절대 지정
상대 지정
단일 사용자 연속 기억 장치 할당
1. 오버레이 기법
- 주기억장치보다 더 큰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
2. 시스템보호
- 중앙처리 장치내에 하나의 경계 레지스터를 이용
- 운영체제에서 접근하려면 명령 실행 중단
- 슈퍼바이저 호출(SVC)
운영체제 서비스 요청
Linux VS Android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프로그래밍] 11/1일 수업 내용 (0) | 2017.12.04 |
---|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감자개발자
- node.js
- 초보자를 위한 C언어 300제
- db
- 텐서플로우
- 코드엔진
- 안드로이드
- 복습
- 프로그래밍
- programming
- C langauge
- 백준알고리즘
- 감자코딩
- 백준
- 알고리즘
- Controller
- Android
- 학교
- 노드
- C언어
- 리버싱
- BFS
- 머신러닝
- 개발하는 관광이
- 스프링
- node
- TensorFlow
- MVC
- Spring
- Algorig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